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카페 브랜드 순위 BEST 10

by rndnjsrlf1 2024. 2. 7.
반응형

안녕하세요 파이어족을 꿈꾸고 있는 30대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재미있게 우리나라 커피 및 카페 브랜드 순위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카페창업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이지만 워낙 카페브랜드들이 많기 떄문에 어디를 채택해서 사업을 해야할지 궁금할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매장수를 비교하면서 판매량이나 소비자들이 생각하기에 여러 지수들을 포함한 순위라고 하니 한번 읽어보시고 재미있는 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자 시작하겠습니다. !

 

 

 

 

10위 폴바셋 (Paul BasseTT) / 매장수 - 119개


10위는 폴바셋입니다. 폴바셋은 2003년 바리스타 챔피언을 수상했던 폴 바셋이라는 호주 출신 바리스타의 이름을 그대로 쓰느 커피 체인점, 대한민국에서는 매일유업이 이름만 빌려 와서 운영하다가, 2013년 아애 ‘엠즈씨드’라는 별도의 자회사로 분사시켜 이쪽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일유업의 상하목장 브랜드를 단 아이스크림도 여기서 판다고 합니다. 폴바셋은 현재 전국에 119개의 매장수가 있다고 합니다.  우선 유명 바리스타의 이름을 내건 만큼 원두 수준은 타 프렌차이즈 대비 좋은 편이라고 합니다. 에스프레소에서 산미가 느껴지고 다른 프랜차이즈와는 달리 리스트레토를 메뉴 전면에 내걸고 판매 중입니다. 우유 전문 기업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라 라떼류가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압도적으로 고소하고 맛있습니다. 여름 겨울에 카페라떼만 놓고 보면 수준 있는 시중에 모든 카페와 비교가 불가할 정도로 맛과 향, 그리고 품질 자체가 넘사벽이라는 것이 대부분의 평가를 받을만큼 물 탄 우유의 비릿한 냄새가 하나도 나지않고 순수한 우유 그대로의 고소한 맛이 살아있습니다

 

 

 

9위 커피빈 (THE COFFEE BEAN) 매장수 254개

 

 

미국의 커피 체인점 브랜드. 풀 네임은 'Coffee bean and tea leaf(이하 커피빈)'.  통 The Coffee Bean And Tea Leaf라고 영어로 상호가 쓰여 있으나, 지금은 폐점한 과거 종로구의 서울특별시교육청정독도서관 앞에 있던 지점은 '더 커피빈 앤 티리프'라고 한글로 상호가 쓰여 있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와 네바다 주 일부에만 있는 지역 체인이지만[1], 한국에서는 상당한 규모로 영업하고 있습니다.  국산 커피 전문점의 확장이 빠르게 진행되어 예전보다 매장이 줄었다. 현재 대부분 매장이 수도권, 그 중에서 강남구에 집중해 있습니다. 

 

 

 

8위 할리스 커피 (HOLLYS COFFEE) / 매장수 453개

8위는 할리스커피입니다. 토종 브랜드 커피 체인점. 공식명칭은 HOLLYS.빨간 왕관과 빨간 문이 특징입니다.  SPC(파스쿠찌) 등 국내 대형기업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와 달리 식품업계에 종사하던 개인이 창업한 브랜드이기도 합니다. 설립 이후 여러 차례 매각을 거치다 2020년 9월 KG그룹 소속이 되었습니다.  24년 상장을 목표로 23년 8월 현재 IPO를 시작하였습니다.  카페베네와 망고식스의 창립자인 강훈[4]이 김도균 현 탐앤탐스 대표와 함께 동업하여 1998년 강남역[5]점을 개점한 국내 최초의 브랜드 커피 체인점이다. 인스턴트 커피 문화와 캔커피 문화를 정통 커피문화로 선도한다는 뜻에서 인스턴트식이 아닌 원두 로스팅 방식의 오리지널 에스프레소를 취급하고 있으며 이를 계기로 국내에 카페 전문 문화를 선도하게 되었다는 브랜드임을 내세웠다.[6] 나름 브랜드 커피숍임에도 스타벅스 등 후발주자들에 밀려 그 인지도가 처참한 편이었지만, 2010년대 들어 1인 고객이나 다수의 그룹 고객을 위한 특성화 탁상 유치, 커피 로스팅의 차별화 전략 등으로 서서히 뜨고 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카페베네, 파스쿠찌, 엔제리너스 커피 등 후발 주자들과 경쟁이 격화되면서 지점 수를 대폭으로 증가시켜, 카페베네, 파스쿠찌, 엔제리너스 커피 등에 이은 다지점 보유 카페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7위 파스쿠찌 (CAFE PASCUCCI) 매장수 548개

 

7위는 파스쿠찌입니다. 파스쿠치는 이탈리아의 커피 브랜드입니다 19세기 말 안토니오 파스쿠치(Antonio Pascucci)가 만들고, 마리오 파스쿠치(Mario Pascucci)가 확장해서 지금의 형태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사실 이전까지는 이탈리아의 많은 커피브랜드 중 하나였을 뿐이고,알리 라바짜 세가프레도 등에 비해 그다지 유명한 브랜드는 아닌듯합니다. 본진에서는 개인 카페가 커피 및 관련 용품을 주문하면 공급하는 식으로 운영하는 듯하다. 그래도 이탈리아에 여행을 가면 국내보다 점포가 많기에 자주 볼 수 있는 카페 중 하나이다. 현재는 미국에서도 체인점이 열리는 등 요새 상당히 사업이 확장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2년 파리크라상이 홍대점을 최초로 개점하여 대한민국에 들어왔습니다.

 

 

 

6위 빽다방 (PAIK"S COFFEE) 매장수 1,211개



6위는 빽다방입니다. 대한민국의 커피 체인점 백종원이 대표로 일하고 있는 더본코리아의 하위 브랜드입니다. 전국에 1,210개 이상 중국에 1개 매장이 있습니다. 맛은 가격을 생각하면 무난하다는 평이 많다. 가게 컨셉에 맞게 가볍게 테이크 아웃으로 즐기기에 적당하다. 단, 가격을 생각했을 때 무난한 거지, 결코 고급 커피는 아니다. 평소 고급 커피를 즐기던 사람이라면 "웬 다방커피 맛?!"이라고 생각하고 실망할 수도 있는데, 빽다방이라는 점을 명심하자. 콜드브루커피의 맛은 홍삼맛이 나므로 다른 곳에서 사 마시길 추천합니다 다른 체인점들에  비해 커피의 농도가 연하다는 평이 있다. 그래서 스타벅스럼 진한 에스프레소 음료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맞지 않는다고 합니다. 단 100% 아라비카 원두를 강조하고 있는데 드립 커피 메뉴가 없고 에스프레소 음료를 중심으로 한 커피 전문점이라는 점에서 무조건 장점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아라비카 원두만 사용하고 배전도가 상당히 낮은 하이 로스트 수준의 원두를 쓰기 때문에 맛이 연한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연하게 마시는 사람들에게는 괜찮은 곳이 될 수 있다.

 

 

 

5위 컴포즈커피 (COMPOSE COFFEE) 매장수 1,875개

 

부산에 본사를 둔 대한민국의 커피 프랜차이즈 체인 브랜드입니다. 본점은 경성대점[1]이며, 이는 수도권에 본점을 둔 여타 브랜드의 경우와 다른 특징이기도하죠 . 경쟁업체인 메가MGC커피 주변에 점포를 자주 개설하는 편이다. 심지어 마주보고 있거나 바로 옆에 붙어있는 경우도 있을 정도. 컴포즈커피 매장은 보통 큰 점포로 운영하는 편인데 메가커피는 작은 점포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가커피와 다르게 아이스 아메리카노에 추가 금액(+500원)이 붙지 않는다. 상하목장 우유를 사용하는 밀크쉐이크가 컴포즈커피 측에서 밀고 있는 주 메뉴다.[6] 바리에이션이 꽤 많이 나오며, 실제 출시된 메뉴의 평가 또한 좋은 평을 듣는다.

 

 

 

4위 이디야커피 (EDIYA COFFE) 매장수 3,018개

 

 

대한민국의 커피 체인점. 순수 국내 브랜드 중 하나다. 어감이 에티오피아를 떠오르게 하는데, 이디야란 암하라어로 '대륙의 황제'를 뜻하고 있습니다. 다만 카페명이 에티오피아 콘셉트라고 해서 에티오피아산 원두만 쓰지는 않는 듯합니다. 일반적으로 가맹점에 쓰이는 블렌딩 원두는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과테말라, 케냐산을 섞어서 사용한다.[2] 매장 규모가 작기 때문에 관리하는 사람들도 많아야 두세명뿐이므로, 만약 주문이 몰리기 시작한다면 미칠 듯한 딜레이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건 모든 중소규모 커피 전문점의 공통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특히 이디야는 경영방침상 극한의 회전률 중심 운영을 하는지라 논현동 본점(커피랩)과 뚝섬역점같이 작정하고 만든 대형매장이 아니면 원래 매장을 크게 안 만드는 걸로도 유명합니다. 스타벅스 탐앤탐스 등 대형 프랜차이즈에 비하면 싼 편이다. 반면 빽다방 메가커피 등 2010년 후반부터 급성장 중인 최저가 프랜차이즈에 비하면 비싸다. 그리고 이디야 커피의 양은 적은 편이라서 실질적인 가격은 대형 프랜차이즈와 비슷하다.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는 양은 스타벅스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가맹점주에 따른 케바케가 심해서 커뮤니티에서 자주 지적된다. 컵의 크기는 스타벅스와 비슷한데, 커피의 양은 스타벅스의 3분의 2 정도입니다

 

 

 

3위 투썸플레이스 (A TWOSOME PLACE) 매장수 1,500개

 

 

대한민국의 커피 체인점입니다. CJ 그룹이 런칭했으나 홍콩계 사모펀디인 앵커에쿼파트너스에 매각하고 2021년 부로 미국 기업인 킬라일 그룹이 완전히 인수했습니다. 다른 유명 브랜드와는 달리 "Dessert Cafe"라는 슬로건 아래 케이크류가 중심인 커피 전문점입니다. 상호 "A TWOSOME PLACE"는 'A(혼자) + TWO(둘이서) + SOME(셋 이상에서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즉 'A'는 관사가 아닙니다. 그래서 영어를 그대로 읽으면 어투썸플레이스라고 해야 하나 한글로는 A를 빼고 '투썸플레이스', 혹은 편의상 줄여서 '투썸'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디저트 카페라는 컨셉답게 커피 평은 호불호가 갈리는 데 비해 케이크의 평가는 매우 좋습니다.  특히 케이크 시트를 오레오로 대체하고 마스카르포네 치즈와 생크림을  섞어 만든 "아이스박스 케이크"가 대박을 터뜨리면서 계열사 뚜레쥬르의 케이크로 역수입되었다고 합니다.

 

 

 

2위 메가커피 (MEGA COFFEE) 매장수 2,000개 이상

 

2위는 메가커피입니다. 주식회사 앤하우스에서 운영하는 커피 및 음료 전문점. 메가커피는 모 브랜드인 앤하우스 이름으로 2005년 법인이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2013년 빙수전문점 파시야 브랜드를 론칭하였고 시장 트랜드에 발 맞추어 2015년 메가커피 브랜드를 론칭하였고 폭발적인 고객과 예비 점주의 성원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볼륨을 키워 나갔습니다. 또한 고객의 만족도를 높힌 가격과 맛 그리고 사이즈를 충족시킨 음료를 출시하였고 합리적인 가격을 지향하는 브랜드 중 후발 주자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명실공히 누구나 인정하는 프랜차이즈로 성장하였다.지갑 사정이 가벼운 대학생, 중고등학생, 사회 초년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 위주, 특히 대학로, 학원가, 회사 주변 위주로 신규 점포를 내는 일이 많습니다. 100~200호점 당시에는 경기 북부지역에서도 면단위 지역을 중점으로 공격적으로 개점되었다. 아무래도 가성비를 내세운 브랜드다보니 가성비를 중시하는 수요층을 노리기 위해 군인들이 외박 및 외출 나오는 지역이나 대학교 주변 위주로 많이 개점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연천군 전곡점, 포천시 운천점/일동점, 철원군 신철원점/와수점, 화천군 사창리점 등이 먼저 개점되었을 정도, 서울 등의 대도시는 나중에 차근차근 진행되었습니다.

 

 

 

1위 스타벅스 (STARBUCKS) 매장수 1,750개 이상

 

 

1위브랜드는 스타벅스입니다. 당연하죠! 스타벅스는 미국의 세계 최대 커피 체인점입니다. 커피뿐만 아니라 차 주스 디저트 등을 같이 판매합니다. 한국에는 1999년 진출하여 2021년 기준 1,600개의 매장을 운영하여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별명이 별다방이나 줄임말인 스벅으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신세계그룹의 주식회사 이마트와 미국 스타벅스 본사 간의 50대 50 합작회사인 주식회사 스타벅스코리아로 사업을 시작했지만 계약 만료 시점에 미국 스타벅스가 지분을 전부 매각해 현재는 이마트가 단독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내 진출 초기에는 높은 가격으로 주목 받았지만, 타 체인들이 스타벅스 수준으로 가격을 맞추면서 현재는 평균 정도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균일하고 튼튼한 품질과 무난한 가격경쟁력으로 한국 및 전 세계 카페 시장에서 압도적인 1등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